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주식용어 PBR (주가 순 자산 비율)의 계산식과 기준

by 지혜로움님
반응형

PBR의 계산식과 기준

PBR : Price Book-Value Ratio (주가 순 자산 비율)는 재무 분석에서 기업의 성장성을 분석하는 지표 중 하나이며, 회사의 순 자산 에 주가가 적절한 수준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의 계산 방법

PBR (배) = 주가 / BPS (주당 순 자산)

PBR (주가 순 자산 비율)은 주가를 주당 순 자산 액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00원으로, BPS (주당 순 자산) 이 800원 회사인 경우, PBR은 1.25배 (1000 원  800원)입니다.

 

PBR 이용한 주가 가치

PBR (주가 순 자산 비율)는 주당 순 자산에 대해 몇 배의 주가에 주식이 팔리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PBR을 보면 회사의 자산에 대해 주가가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PBR 기준 1배 이상

일반적인 기준으로 PBR (주가 순 자산 배율)이 1배 이상이면 비교적 하며 1배를 부수는 것 같으면 저렴하다고 생각합니다. PBR이 1배라는 것은 주가와 BPS (주당 순 자산)가 같다는 것이며, 그 투자 단계에서 회사가 해산한 경우, 주주는 투자 금액이 그대로 돌아온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PBR이 1배 기준

PBR (주가 순 자산 배율)이 1배를 부수는 것은 주가가 BPS를 밑돈다고 것이며, 이론적으로 있을 수없는 일이지만, 실제로는 PBR이 1배 깨지는 하고 있는 회사는 많이 있습니다. PBR이 1배를 밑도는 경우, 만일 투자 단계에서 회사가 해산한 경우 투자 금액 이상의 돈이 돌아올 계산 됩니다.

PBR 업종별 기준

따라서 PBR (주가 순 자산 배율)은 1배를 기준으로 하지만, 업종에 따라 경향이 다르고,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차이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초창기 기업은 PBR이 높아지기 쉽다.

기업 대부분은 차입금이 많아져서 부채 비율이 높아 순 자산 비율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PBR도 높은 경향이 있다.

 

PBR과 PER의 차이

주가가 적정 가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PBR (주가 순 자산 배율)와 함께 중시하는 지표로서  PER (주가 수익률) 라는 지표가 있습니다. PBR은 회사의 자산을 기준으로 주가가 적정 가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지만, PER은 회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PBR을 중시하는 투자자는 회사의 자산을 중시하고, PER을 중시하는 투자자는 회사의 수익성에 기대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PBR 요약

  • PBR은 기업의 성장성 분석 지표의 하나이며, 회사의 자산에 대해 주가가 적절한 수준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 PBR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구한다.

       PBR (배) = 주가 / BPS (주당 순 자산)

 

  • PBR이 1배이면, 그 단계에서 회사가 파산한 경우, 주주는 투자 금액이 그대로 돌아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댓글